두 줄 요약
- 스피킹 잘한다고 자만하지말기
- 리스닝 연습 반드시 하기
자기소개
하는 일을 소개할 때 정리가 안되어 있는 느낌이다.
I’m a developer working at a startup, building the app service.
The app I’m currently developing offers many features related to health supplements.
리스닝
유튜브로 리스닝 실력 향상 관련 영상을 두 개 정도 보았다.
공통적으로 "영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영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읽고 들어야 한다고 하는데, 구체적인 실행 방법을 기록해보자.
실행 방법
1. 실전 해석 습관 들이기
문장을 앞에서부터 읽으며 이해하는 습관을 들이자.
실전 대화에서는 문장을 나누고 분석할 시간이 없다.
자연스럽게 앞에서부터 읽고 들었을 때 이해되도록 익숙해져야 한다.
만약 해석이 한번에 안되면 처음부터 다시 천천히 읽고, 중간에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찾아보는 식으로 한다.
2. 무작정 듣기 금지
어차피 모르는 단어, 표현, 발음은 백날 천날 들어도 모른다.
스크립트를 "보고", 원어민들은 이러한 상황에 이렇게 표현하고 발음하는구나 라고 "이해"하며 들어야 한다.
즉, 결국 읽기와 듣기가 동시에 진행되며 상황, 발음, 표현 등을 "이해"하는 것이다.
아래는 한 영상에서 제시한 구체적인 방법이다.
- 자막없이 쭉 시청
- 한영 자막 두 개 모두 틀어놓고 보기. 동시에 띄울 수 없다면, 한글 띄우고 한번, 그 다음은 영어 자막 띄우고 보기
- 스크립트 리딩. 스크립트를 해석해보고, 단어 표현 정리도 해본다. 만약 계속 단어 찾아야하고, 거의 1시간 걸리면 수준이 너무 어려운거니까. 더 쉬운 자료를 찾아야 한다.
- 쉐도잉(듣고 따라말하기)하기. 발음, 억양, 띄어 말하기, 리듬, 감정까지 모두 그대로 따라한다. 계속 반복해서 말하고, 다 봤는데도 왜 이렇게 발음하지? 싶은 부분은 연음때문이다. 그 부분은 집중해서 다시 듣기!
- 좋은 표현이 있다면, 응용해서 직접 작문해보기
3. 연음 학습
연음에 익숙해지면 리스닝이 쉬워진다. 집중적으로 훈련해야 하는 부분이다.
주로 연음이 나오는 상황은 앞 단어가 자음, 뒤 단어가 모음일 때이다.
예로 clean up("클리넙"), come in("커민"), work out("월까웃") 등이 있겠다.
미국에서는 부드럽게 흐르는 억양을 선호한다.
그래서 모음 사이에 있는 D, T가 R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예로, put on("푸런"), quite a lot("콰이럴랏) 등이 있다.
연음을 집중적으로 훈련할 때에는 실제 단어와 발음 사이에 내 해석이 들어가면 안되고 원어민이 뱉는 그대로 듣고 따라해야 한다.
실천 방법
별도로 리딩과 리스닝을 병행할 수 있는 수단을 찾아볼까 했지만, 창구 AI 스터디 잼에서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을 것 같다.
일단 '앞에서부터 읽으며 이해하는 습관'을 들여보는 데 노력해보자.
단어 & 표현
- convey: (생각이나 감정 등을) 전달하다
- find engaging: 매력을 느끼다.
I found the conversation to be quite engaging. - fought: past tense of fight
- hammered, blasted: 술에 완전히 취한
I had a bit too much to drink one night and I ended up being quite hammered. - burden had been lifted: 마음의 짐이 사라진, 스트레스나 압박감으로부터 해방된
Actually, it felt like a burden had been lifted - burden: 부담
- this is real time sink: 어떤 활동이나 일이 시간을 엄청나게 잡아먹는 것을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말
When I used Instagram, I realized it is real time sink. - account for: (비율·부분을) 차지하다, (이유·원인을) 설명하다
- I have a heavy workload at the moment.: 업무량이 많다는 상황을 그대로 전달함으로서 바쁘다는 표현을 formal하게